맨위로가기

브라이언 호록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이언 호록스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영국의 군인이다. 1895년 인도에서 태어나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미들섹스 연대에 소위로 임관하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 부상으로 포로가 되었다. 이후 러시아 내전에 참전하고 1924년 파리 올림픽 근대 5종 경기에도 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프랑스 및 벨기에 전역, 북아프리카 전역, 서부 유럽 전선 등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엘 알라메인 전투, 마레트 방어선 전투, 팔레즈 포켓 전투, 마켓 가든 작전 등에 참여했다. 전후에는 서부 사령부 최고 사령관을 역임하고, 검은 막대기의 젠틀맨 어셔로 활동하며 저술 및 방송 활동을 했다. 1985년 사망했으며, 대영 제국 훈장, 특출근무훈장 등 다수의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버로드 작전 관련자 - 코트니 호지스
    코트니 호지스는 미국의 육군 장군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제1군 사령관으로서 유럽 전선에서 연합군 승리에 기여했으며, 사병으로 입대하여 대장까지 진급, 뫼즈-아르곤 공세 참전, 라인 강 도하 작전 성공 등 굵직한 군사적 업적을 남겼다.
  • 오버로드 작전 관련자 - 조지 S. 패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기동전 능력으로 명성을 얻은 미국의 군인 조지 S. 패튼은 과감한 지휘 스타일로 혁혁한 공을 세웠으나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으며, 전후에는 탈나치화 정책에 대한 이견으로 해임된 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영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앤서니 이든
    앤서니 이든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보수당 하원의원, 외무부 차관, 외무장관을 역임하고 국제연맹을 통한 평화 유지에 힘썼으나, 수에즈 위기의 실패로 총리직에서 사임한 후 에이번 백작 작위를 받았다.
  • 영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앤드루 커닝엄
    앤드루 브라운 커닝엄은 영국의 해군 제독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중해 함대 사령관으로서 혁혁한 공을 세웠고, 해군 원수로 진급 후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으로서 영국 해군을 이끌었다.
브라이언 호록스 - [인물]에 관한 문서
주요 정보
브라이언 호록스 중장 (1942년, 북아프리카)
제13군단 사령관 브라이언 호록스 중장, 1942년 북아프리카
별명조록스
출생일1895년 9월 7일
출생지인도 제국 라니케트
사망일1985년 1월 4일
사망지잉글랜드 웨스트서식스주 치체스터
국적영국
군 복무1913년 – 1949년
최종 계급중장
군 번호5821
소속 부대미들섹스 연대
주요 지휘 경력영국 육군 라인 군단
서부 사령부
제30군단
제9군단
제10군단
제13군단
제9기갑사단
제44 (홈 카운티스) 보병사단
제9보병여단
미들섹스 연대 제2대대
주요 참전 전투/전쟁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아일랜드 독립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훈장 및 서훈
영국바스 훈장 나이트 커맨더
대영 제국 훈장 나이트 커맨더
특무 훈장
무공 십자장
훈공장 (총 3회)
그리스게오르기오스 1세 훈장 커맨더
네덜란드오라녜나사우 훈장 나이트 그랜드 오피서
벨기에왕관 훈장 그랜드 오피서
종군 십자장
프랑스레지옹 도뇌르 훈장 코망되르
1939년-1945년 종군 십자장
미국레지옹 오브 메리트 훈장 커맨더
기타 경력
주요 활동흑장관
텔레비전 프로그램 진행자
작가

2. 초반 생애 및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브라이언 귄 호록스는 영국령 인도에서 태어나 군인의 길을 선택했으며, 업핑엄 스쿨과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84][85][86]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14년 8월 영국 육군 미들섹스 연대 소속 소위로 임관하여 프랑스 전선에 투입되었다.[5][91] 참전 초기 아르망티에르 전투 중이던 1914년 10월, 독일군의 공격을 방어하다 중상을 입고 포로가 되어[93][94] 전쟁 기간 대부분을 포로수용소에서 보내야 했다. 수용소 생활 중 여러 차례 탈출을 시도하는 등 저항 정신을 보인 공로로 종전 후 밀리터리 크로스(Military Cross)를 수훈했다.[8][199]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브라이언 귄 호록스는 영국 육군 의무 군단 소속 군의관이자 랭커셔 출신인 윌리엄 호록스 경 대령과 아내 민나 호록스 사이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1895년 9월 7일 영국령 인도의 라니케트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가 브루셀라증의 원인을 연구하던 지브롤터에서 보낸 4년은 행복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 영국으로 돌아와 보우 스쿨을 다녔고, 이후 영국의 사립학교인 업핑엄 스쿨에 진학했다. 그는 업핑엄 스쿨에서 자연스럽게 육군반에 들어갔으며, 군인 외 다른 직업은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84][85] 그는 자신의 어린 시절이 "매우 행복했다"고 회상했으며, 거의 전적으로 스포츠에 몰두했기 때문에 학업에는 소홀했다고 술회했다.[84]

1912년 10월, 호록스는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86] 샌드허스트 시절은 그다지 뛰어나지 않았는데, 스스로 "솔직히 말해서, 나는 게으름뱅이였다. 옷차림에도 무관심했고—육군 용어로는 꾀죄죄했다(scruffy)—게다가 걸을 때 몸이 흔들리는 경향이 있어서 행진은 매우 보기 좋지 않았다."라고 회고할 정도였다.[87] 그의 성적은 장교훈련단(OTC) 자격증으로 받은 200점의 보너스 점수를 포함해도 167명의 합격자 중 뒤에서 여섯 번째일 정도로 낮았다.[88] 성적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지 않았다면 장교로 임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았다.[89][90]

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4년 8월 8일, 호록스는 영국 육군의 보병 연대인 미들섹스 연대(Middlesex Regiment)에 소위(second lieutenant)로 임관했다.[5][91] 그는 95명의 보충병을 이끌고 영국 원정군(British Expeditionary Force, BEF)에 합류했는데, 이는 몽 전투(Battle of Mons) 이후 영국군이 후퇴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사우샘프턴(Southampton)에서는 전쟁 참여를 열망한 3명이 몰래 합류하여 부대 인원은 98명이 되었다.[89] 호록스는 당시 분위기를 "전쟁에 대한 로맨스가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시기"였다고 회고하며, 환호하는 군중 속에서 행진할 때 마치 왕이 된 기분이었고, 모두가 전쟁이 크리스마스 전에 끝날 것이라 믿었다고 술회했다.[92]

프랑스에 도착한 호록스는 미들섹스 연대 제1대대 제16소대에 배치되었다. 이 대대는 제19독립여단(19th Independent Brigade) 소속이었으며, 그의 중대장은 훗날 1918년 전사한 에드워드 스티븐 기번스(Edward Stephen Gibbons) 대위였다.[90] 호록스는 당시 "끝없고 지칠 줄 모르는 행군"이 가장 강렬한 기억이었으며, "다리가 자동적으로 움직이는 동안 잠이 들 수 있다는 것을 그때까지는 몰랐다"고 적었다.[92] 그는 병사들의 유머 감각에서 위안을 찾았으며,[90] 중대장 기번스 대위와 소대장 위니(Whinney) 상사를 존경하게 되었다. 특히 기번스 대위가 열악한 환경에 처한 부하들과 고통을 함께 나누어야 한다고 주장했던 일화는 호록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93][90]

그러나 호록스의 전투 참가는 오래가지 못했다. 1914년 10월 21일, 아르망티에르 전투(Battle of Armentières) 중 메닐(Maisnil) 마을을 방어하던 그의 소대는 독일군에게 포위되었고, 호록스는 하복부와 허벅지 상부에 총상을 입고 포로가 되었다. 그는 "나에게 전쟁은 끝났고, 나의 활동적인 군 생활은 4년 동안 중단되었다"고 회고했다.[93][94]

군 병원에 수감된 호록스는 독일군으로부터 영국군이 1899년 헤이그 협약(Hague Conventions of 1899 and 1907)을 위반하여 확장탄(dum-dum bullet)을 사용했다는 혐의로 반복적인 심문을 받았다.[95] 열악한 처우로 인해 상처가 감염되기도 했으나, 포로수용소로 이송된 후 상황은 다소 나아졌다.[96] 그는 이송 중 만난 독일 호송병들과 친분을 쌓기도 했는데, 이는 최전선 병사들 간의 상호 존중 때문이라고 생각했다.[97] 포로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1914년 12월 18일 중위(lieutenant)로 진급했다.[7][98]

호록스는 수용소에서 여러 차례 탈출을 시도했으며, 한 번은 네덜란드 국경에서 불과 약 457.20m 떨어진 곳까지 도달했지만 다시 체포되었다.[99] 탈출 시도를 막기 위해 러시아 장교 구역에 배치되었으나, 그는 이 시간을 활용하여 러시아어를 배웠다. 훗날 영국 하원(House of Commons)에서 근무할 때 니키타 흐루쇼프(Nikita Khrushchev)와 니콜라이 불가닌(Nikolai Bulganin)에게 유창한 러시아어로 인사를 건네 그들을 놀라게 했다.[100] 전쟁 후반기에는 홀름민덴 포로수용소(Holzminden prisoner-of-war camp)에 수감되었다. 포로 생활 중 보여준 저항 정신을 인정받아 1920년 밀리터리 크로스(Military Cross, MC)를 수훈했으며, 이는 1919년 5월 5일자로 소급 적용되었다.[8][199]

전쟁이 끝나고 영국으로 귀국한 호록스는 평화로운 일상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런던(London)에서 4년간 밀린 급여를 단 6주 만에 모두 써버릴 정도로 방탕한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101]

3. 전간기 활동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브라이언 호록스는 군 복무를 이어갔다. 전간기 동안 그는 다양한 경험을 쌓으며 군 경력을 발전시켰다.

1919년에는 러시아 내전 연합군 개입에 참여하여 시베리아에 파병되었다. 그는 백군을 지원하는 임무 중 열차 호송, 부사관 훈련학교 운영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백군의 후퇴 과정에서 1920년 1월 크라스노야르스크 근처에서 적군에게 포로가 되어 약 10개월간 억류되었다. 포로 생활 중 티푸스를 앓기도 했으나, 영국 정부의 협상으로 석방되어 귀국했다. 귀국 후에는 독일에 주둔 중인 라이나강 영국군에 복귀했으며, 이후 아일랜드 독립 전쟁 시기 아일랜드와 긴장 완화를 위한 실레시아 파견 등 여러 지역에서 복무했다.

군사 활동 외에도 호록스는 근대 5종 경기 선수로 활동하여 1924년 파리 올림픽에 영국 대표로 출전, 38명 중 19위를 기록했다.[9][10] 이후 영토군 제9대대, 미들섹스 연대 부관(1926~1930),[11] 캠벌리 육군사관학교 학생(1931~1932),[12] 전쟁청 참모 대위(1934~1936),[13] 제5보병여단 여단장(1936~1938),[14] 육군사관학교 강사[15] 등 다양한 보직을 거치며 1935년 명예 소령, 1936년 정식 소령, 1937년 명예 중령으로 진급했다.[16] 특히 예비군 부대에서의 경험은 훗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귀중한 자산이 되었다.

1928년에는 지방자치위원회 건축가의 딸인 낸시 키친과 결혼하여 딸 질리언을 두었다.[17] 이 시기 호록스는 다양한 군사 및 개인적 경험을 통해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까지 꾸준히 경력을 쌓아나갔다.

3. 1. 러시아 내전 참전

1919년 호록스는 러시아 내전 연합군 개입의 일환으로 러시아에 파병되었다. 4월 19일 블라디보스토크에 상륙한 후 영국 본부에서 브리핑을 받았다. 당시 알렉산드르 콜차크 제독이 이끄는 백군은 석방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포로들의 도움으로 적군을 시베리아에서 몰아낸 상태였다. 콜차크를 돕던 체코 군단이 고국으로 돌아가게 되자, 영국 군사 파견대는 이들을 대체할 러시아 군인을 긴급히 양성하려 했다. 이를 위해 영국은 2개 보병대대와 2개의 소규모 행정 임무팀을 운용했는데, 한 팀은 러시아군에게 영국의 잉여 군수품을 이용해 훈련시키고 무장시키는 임무를, 다른 한 팀은 백군의 통신 개선 임무를 맡았다.

호록스의 첫 임무는 13명의 영국 장교와 30명의 사병으로 구성된 부대를 이끌고 옴스크에 있는 백군에게 27량의 포탄을 실은 열차를 호송하는 것이었다. 이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따라 약 4828.02km에 달하는 거리였다. 여정은 한 달 이상 소요되었으며, 부대 내 유일하게 러시아어에 능통했던 호록스는 여러 어려움을 직접 해결해야 했다. 그는 모든 역에서 열차를 가로채려는 역장들을 막아야 했고, 만저울리에서는 영국 장교들의 존재가 두 코사크 장교 간의 결투를 유발하기도 했다. 호록스는 결투 입회인 역할을 제안받았으나, 결투 시작 전 두 장교가 체포되었다. 그는 자신의 서투른 러시아어가 오해를 불렀다고 주장하여 상황을 무마했다.

다음 임무는 우랄 지역의 예카테린부르크에 있는 영국-러시아 여단 소속 부사관 훈련학교의 2인자로 임명된 것이었다. 그는 이 직책에 대해 초기 간부의 거의 3분의 1을 의학적 이유로 해임해야 했고, 백군 당국으로부터 보급품과 지원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좌절감을 느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부하들과 좋은 관계를 맺었으며 러시아 군인에 대한 존경심을 키웠다.

얼마 후 영국군에게 본국 귀환 명령이 내려졌지만, 호록스와 조지 헤이즈(George Hayes)라는 다른 장교는 제1시베리아 군에 대한 자문을 위해 남았다. 백군은 후퇴하고 있었고, 호록스는 그들과 함께 약 4828.02km 떨어진 블라디보스토크 방향으로 후퇴했다. 그는 1920년 1월 7일 크라스노야르스크 근처에서 적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10개월간의 포로 생활 동안 심각한 티푸스에 걸렸으나 간신히 살아남았다. 영국 정부가 포로 석방 협상을 진행했고, 호록스는 10월 29일 러시아를 떠나 영국 해군 순양함 HMS ''델리''호를 타고 귀국했다.

3. 2. 귀국 후 활동

제1차 세계 대전 후 호록스는 독일에 주둔 중이던 라이나강 영국군 소속 연대 제1대대로 복귀했다. 그는 당시 쾰른에서의 생활을 즐겁게 보냈다고 회고하며, 독일 마르크화의 인플레이션 덕분에 재정적으로 여유로웠던 드문 경험을 했다고 언급했다.

이후 1921년 탄광 파업 시기에 대대와 함께 영국으로 돌아왔고, 곧이어 영국-아일랜드 전쟁이 한창이던 아일랜드로 파병되었다. 그곳에서 무기 수색, 매복 및 검문소 대응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이를 "매우 불쾌한 형태의 전쟁"이라고 묘사했다. 아일랜드 복무 후에는 폴란드인과 독일인 사이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잠시 실레시아에 파견되기도 했다.

영국으로 돌아온 호록스는 근대 5종 경기를 시작하여 군 관련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1924년 파리 올림픽에 영국 대표 선수로 선발되어 출전, 38명의 선수 중 19위를 기록했다.[9][10]

전간기 동안 호록스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보직을 거쳤다.

전간기 주요 보직 및 진급
기간내용
1926년 ~ 1930년영토군 제9대대, 미들섹스 연대 부관[11]
1931년 ~ 1932년캠벌리 육군사관학교 학생[12]
1934년 ~ 1936년전쟁청 참모 대위[13]
1935년소령 명예 계급 수여[16]
1936년정식 소령 진급[16]
1936년 ~ 1938년제5보병여단 여단장[14]
1937년명예 중령 진급[16]
(시기 미상)육군사관학교 강사[15]



특히 영토군에서의 복무는 그가 가장 행복했던 시기 중 하나였으며, 이때 시민 군인들을 지휘했던 경험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큰 자산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1928년, 호록스는 지방자치위원회 건축가의 딸인 낸시 키친과 결혼하여 딸 질리언을 두었다. 그러나 질리언은 1979년 템스강에서 수영 중 불의의 사고로 사망했고, 이는 호록스에게 큰 충격과 슬픔을 안겨주었다.[17]

4.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7월 18일, 훈련 중 코버넌터 전차에 탑승한 당시 제9기갑사단 사단장(GOC) 브라이언 호록스 소장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호록스는 캠벌리 육군참모대학 강사로 재직 중이었다.[18] 그는 짧은 장교 훈련 과정 조직에 기여한 후,[19] 1940년 5월 프랑스로 파견되어 버나드 몽고메리 소장이 지휘하는 제3사단 예하 기관총 대대를 지휘했다.[21] 덩케르크 철수 작전 중 지휘 능력을 인정받아 임시 준장으로 진급하며 제11여단을 맡게 되었다.[22]

영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제9여단과 제44(홈 카운티)보병사단을 지휘하며 영국 본토 방어 임무를 수행했고,[22][23] 1942년에는 신설된 제9기갑사단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기갑 부대를 훈련시켰다.[26][28]

1942년 8월, 버나드 몽고메리의 요청으로 중장 대리로 진급하여 이집트로 파견되었고, 영국 제8군 예하 제13군단의 지휘를 맡았다.[29] 그는 알람 엘 할파 전투에서 성공적인 방어전을 지휘하여 에르빈 롬멜아프리카 군단 공세를 막아냈으며,[30] 이는 엘 알라메인 제2차 전투 승리의 발판이 되었다.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는 제13군단을 이끌고 남쪽에서 위장 공격을 감행하여 주력 부대의 공격을 지원했다. 이후 제10군단장으로 자리를 옮겨 마레트 방어선 전투에서 측면 기동을 성공시키는 등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연합군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튀니지 전역 막바지에는 제9군단을 지휘하여 튀니스를 점령하고 추축군의 항복을 받아냈다.[34] 그러나 1943년 6월, 이탈리아 상륙 작전 준비 중 공습으로 심각한 부상을 입고 14개월간의 회복기를 거쳐야 했다.[17][36]

1944년 8월, 중장 직무 대행으로 복귀한 호록스는[38] 팔레즈 포위전이 진행 중이던 프랑스에서 XXX 군단의 지휘를 맡았다. 그는 군단을 이끌고 벨기에를 빠르게 진격하여 브뤼셀을 해방시켰으나,[39] 길어진 보급선 문제로 안트베르펜 항구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40][41] 이후 XXX 군단은 마켓 가든 작전에서 지상군 선봉 부대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작전 실패 후에는 클리퍼 작전, 베리터블 작전, 플런더 작전(라인강 도하) 등 독일 본토 진격 작전에 지속적으로 참여했다.[57][55] 이 과정에서 브레멘 점령, 슈탈락 X-B 및 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 해방 등의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63] 전쟁이 끝날 무렵 그의 군단은 쿠크스하펜에 도달했다.[57]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의 공로를 인정받아 호록스는 출중 훈장(DSO),[32][33] 대영 제국 훈장(CB, KBE)[34][60] 등 다수의 영국 훈장과 여러 연합국으로부터 훈장을 받았다.[61][62]

4. 1. 프랑스 및 벨기에 전역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캠벌리 육군참모대학 강사였던 호록스는[18] 짧은 장교 훈련 과정 조직에 기여한 후[19] 1939년 12월 대위로 진급했다.[20] 이듬해인 1940년 5월, 그는 프랑스로 파견되어 제3사단 (소장 버나드 몽고메리 지휘) 직속의 미들섹스 연대 제2대대(기관총 대대) 지휘를 맡았다. 당시 영국 교리상 중화기 부대는 군단이나 사단 직속으로 운용되었다.[21] 그는 덩케르크로의 후퇴 중에 대대에 합류했으며, 불과 17일 만에 상관들의 인정을 받아 준장 임시 계급과 함께 제11여단의 지휘권을 받게 되었다. 이는 기존 여단장 케네스 앤더슨이 덩케르크 철수 작전 중 제3사단장으로 승진했기 때문인데, 이는 제2군단 사령관 앨런 브룩 중장이 영국 본토로 소환되고 몽고메리가 군단 지휘를 맡게 된 연쇄적인 지휘관 교체 과정에서 이루어졌다.[22]

4. 2. 영국 본토 방위

호록스가 영국으로 돌아오자 그는 제9여단의 지휘권을 부여받고 독일의 침공 가능성에 대비한 방어 임무를 맡았다.[22] 잠시 서부사령부의 여단장 참모로 근무한 후, 1941년 6월 25일 소장 대리로 승진하여 제44(홈 카운티)보병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23] 그는 1941년 5월 28일 정식 대령으로 승진했으며(1940년 7월 1일자 소급 적용),[24] 제44사단은 제131(서리)여단, 제132(켄트)여단, 제133(서섹스)보병여단과 지원 부대들로 구성되었다. 이 사단은 켄트에 주둔하며 예상되는 독일의 영국 침공을 격퇴할 준비를 하고 있었고, 폴크스톤 동쪽의 켄트 남부 해안 방어를 담당했다. 사단은 몽고메리 장군이 지휘하는 제12군단 소속이었으며, 몽고메리는 호록스가 이 지휘권을 맡도록 도왔다.[25]

1942년 3월, 호록스는 신설된 제9기갑사단의 지휘권을 맡았고, 6월 27일 소장 임시 계급을 받았다.[26] 기병대를 다룬 경험이 없는 보병 출신이었기에, 호록스가 기갑사단 사령관으로 임명된 것은 이례적이었다.[27] 그는 부대를 강도 높게 훈련시켜 효율성을 높이고 기갑전에 익숙해지도록 노력했다.[28]

4. 3. 북아프리카 전역

중장 버나드 몽고메리, 새로운 영국 제8군 사령관과 중장 브라이언 호록스, 새로운 제13군단장이 1942년 8월 20일 제22기갑여단 사령부에서 병력 배치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준장 필립 로버츠가 오른쪽에 있다.


1942년 8월, 버나드 몽고메리가 영국 제8군 사령관으로 부임하면서 호록스도 중장으로 진급하여 영국 제13군단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17] 북아프리카에 도착한 호록스의 군단은 예상되는 아프리카 군단의 공격으로부터 이집트 북서부의 알람 엘 할파 고지를 방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엘 알라메인 제2차 전투 공세 계획이 큰 인명피해로 위험해질 것을 우려한 몽고메리는 호록스에게 "과도한 피해를 입지 않고" 에르빈 롬멜의 부대를 격퇴하라고 지시했다. 호록스는 고지 주변에 장갑차를 매복시켜 순전히 방어적인 전투를 준비했다. 8월 30일 독일군이 공격했을 때, 이전에 큰 성공을 거두었던 전술인 영국 전차를 88mm 포 쪽으로 유인하는 데 실패했고, 포병과 사막 공군(DAF)의 공격을 받았다. 전투는 독일군이 히메이햇 언덕을 장악하는 것으로 끝났지만, 큰 희생을 치렀고, 연합군은 뉴질랜드 제2사단의 공격이 실패한 후 이를 탈환하려 하지 않았다. 군의 방어적 성공은 사기를 높였고,[30] 그의 부하 필립 로버츠 준장은 그를 "가는 곳마다 자신감과 열정을 불어넣는 놀라운 재능"을 가졌다고 칭찬했다.[31] 몽고메리 또한 "그는 그날의 행동으로 큰 공로를 세웠다"며 만족해했다.

1942년 10월 23일 엘 알라메인 공격 당시, 호록스의 제13군단에 속한 영국 제7기갑사단, 제44사단과 제1프랑스 자유군 여단이 남쪽으로 위장 공격을 감행했다.


호록스는 계획된 알라메인 전투에서 기갑 군단인 영국 제10군단의 지휘를 제안받았다. 그는 기병 장교인 메이저 제너럴 허버트 럼스덴이 그 역할에 더 적합하다고 믿어 이를 거절했다. 대신 그는 제13군단의 지휘를 유지했고, 주요 공격이 북쪽의 영국 제30군단과 제10군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안 추축국 세력을 속이기 위해 남쪽으로 위장 공격을 하는 임무를 맡았다. 몽고메리는 호록스에게 전차 손실을 입지 말라고 말했으므로, 제13군단의 공세 작전은 급습으로 제한되었다.

1942년 후반 북아프리카에 있는 중장 버나드 몽고메리와 그의 세 군단장들(왼쪽부터): 중장 올리버 리스(영국 제30군단 사령관), 중장 허버트 럼스덴(영국 제10군단 사령관), 중장 몽고메리, 중장 브라이언 호록스(영국 제13군단 사령관)


그 후 이어진 획기적인 영국군의 승리 이후, 호록스의 군단은 예비대로 배치되었고 규모가 축소된 반면, 제8군의 나머지는 후퇴하는 추축군을 추격했다. 호록스는 "불쌍한 옛 제13군단은 제8군의 청소부가 되어 알라메인 전장을 정리하는 불쾌한 일을 맡았다"고 회고했다. 한때 그의 지휘하에 있던 유일한 부대는 전장의 잔해를 청소하는 구난 부대였고, 그는 매일 그곳을 방문했다. 1942년 12월, 그는 제13군단의 지휘를 중장 마일스 뎀프시에게 넘겨주고 추격전에서 부진한 것으로 여겨진 럼스덴이 해임된 후 제8군의 선봉 군단인 제10군단의 지휘를 맡았다. 호록스는 1942년 12월 31일 "중동에서 용감하고 훌륭한 공로를 인정하여" 출중 훈장(DSO) 동반자로 임명되었다.[32][33]

1943년 1월 리비아 트리폴리 함락 후, 남은 추축군은 전쟁 전 프랑스가 건설한 마레트 방어선 앞의 튀니지 남부의 방어진으로 후퇴했다. 3월 호록스는 그의 가장 성공적인 작전 중 하나를 수행했다. 영국 제1기갑사단, 프랑스 자유군 여단, 그리고 뉴질랜드 군단(뉴질랜드 제2사단과 영국 영국 제8기갑여단)으로 구성된 그의 군단은 마레트 방어선 전투의 슈퍼차지 II 작전의 일환으로 제30군단이 방어선을 돌파하는 데 실패한 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는 독일군이 뚫을 수 없다고 판단한 고개를 통해 측면 기동을 실시하여 마레트 방어선을 무력화시키고 추축군을 다시 후퇴하게 만들었다. 3개의 이탈리아 육군 사단이 파괴되었고, 독일 제15기갑사단, 제21기갑사단, 제164보병사단이 큰 피해를 입었다.

호록스는 제1군으로 이동하여 이전 사령관인 존 크로커 중장이 훈련 사고로 부상당한 후 영국 제9군단을 맡기 전까지 그 후 몇 주 동안 제10군단을 계속 지휘했다. 제8군에서 제1군으로 그와 함께 이동한 것은 사막에서 많은 경험을 쌓은 제7기갑사단, 제4인도사단, 제201근위여단이었다. 그는 1943년 4월과 5월 튀니지에서 최종 연합군 튀니지 전역 공세를 이끌고 튀니스를 점령하고 롬멜의 아프리카 기갑군 잔당의 항복을 받았다. 그는 6월 24일에 전공 표창을 받았고,[1] 튀니지에서의 공로로 8월 5일 대영 제국 훈장(CB) 동반자로 임명되었다.[34] 그는 또한 임시 중장 및 전시 중장 계급을 받았다.[35]

1943년 6월, 제10군단 사령관으로 복귀한 후 호록스는 비제르테에서 46보병사단의 아발란체 작전 (살레르노 상륙) 양륙 연습을 지켜보는 도중 공습으로 중상을 입었다. 독일 전투기의 기총 소사에서 나온 총알이 그의 가슴 상부를 관통하여 폐, , 을 꿰뚫었다. 그는 5차례의 수술을 받고 14개월 동안 회복했으며,[17] 제10군단 사령관으로서 리처드 맥크리리 중장에게 자리를 내주었다.[36]

4. 4. 서부 유럽 전선

1944년 8월 21일, 아르장탕에서 미군 병사들과 함께 차량에 탑승한 새로 임명된 XXX 군단장 브라이언 호록스 중장


1년간의 부상 회복 끝에, 호록스는 1944년 8월 중장 직무 대행으로 복귀하여[38] 팔레즈 포위전이 한창이던 프랑스에서 XXX 군단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37] 이는 몽고메리 장군이 이전 군단장 제라드 버크널의 성과에 만족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호록스는 벨기에를 통과하는 빠른 진격을 지휘하여 브뤼셀을 해방했으며, 한때 6일 만에 약 402.33km를 진격하는 놀라운 속도를 보여주었다.[39]

그러나 노르망디에서부터 길게 늘어진 보급선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40] 이로 인해 안트베르펜 항구 확보가 중요해졌으나, 항구 점령 후 몽고메리의 진격 중단 명령으로 인해 스헬더강 유역 확보가 지연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독일군에게 재편성 시간을 주었다.[41][44] 이어진 스헬더강 전투는 캐나다 제1군이 담당하게 되었다.[45] 9월 중순, XXX 군단은 동쪽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라인강 도하를 목표로 하는 마켓 가든 작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 작전의 세부 사항과 결과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마켓 가든 작전 실패 후, XXX 군단은 클리퍼 작전에 참여하여 독일의 첫 도시인 가일렌키르헨을 점령했다.[57] 벌지 전투 중에는 몽고메리 원수의 판단에 따라 일시적으로 지휘권을 내려놓고 휴식을 위해 영국으로 보내졌다. 몽고메리는 호록스가 과로로 인해 "신경질적이고 참모와 어려움을 겪었으며" 군단과 함께 "어리석게 행동하려고 시도했다"고 보았다.[54]

왼쪽부터 크리스토퍼 복스 소장, 해리 크레라르 장군, 버나드 몬트고머리 원수 경, 브라이언 호록스 중장, 가이 시몬즈 중장, 대니얼 스프리 소장, 브루스 매튜스 소장(캐나다 육군 장교)이 1945년 초 베리터블 작전 중에 함께 찍은 사진이다.


1945년 초, XXX 군단은 뎀프시의 영국 제2군에서 해리 크레라르의 캐나다 제1군으로 배속되어 베리터블 작전에 참가했다.[55] 이 작전은 독일 국방군라인강 너머로 몰아내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대규모 화력 지원이 동원되었다.[56] 작전 중 호록스는 영국 공군 폭격사령부에 클레베 시에 대한 대규모 폭격을 요청했는데, 이는 도시를 폐허로 만들었으며 그는 나중에 이 결정을 "내 생애 가장 끔찍한 결정"이었다고 회고했다.[58] 베리터블 작전은 성공적으로 지크프리트 선을 돌파하여 독일 본토로 진격하는 발판을 마련했다.[56]

몬트고머리 원수가 1945년 3월 22일 라인강 도하에 대한 최종 명령을 내린 후 독일 발벡에서 참모, 군, 군단 및 사단장들과 함께 단체 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 끝에서 두 번째로 앉아 있는 사람이 호록스 중장이다.


3월 23일, XXX 군단은 플런더 작전의 일환으로 라인강 도하를 시작했다.[57] 초기에는 링겐 등지에서 독일군의 강한 저항에 부딪혔으나, 이후 진격 속도는 빨라졌다. 4월 26일에는 브레멘을 점령했으며, 이 과정에서 산드보스텔에 위치한 슈탈락 X-B 강제 수용소가 해방되었다. 또한 1945년 4월 12일, 호록스는 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 주변의 무력 충돌 방지를 위한 협정에 서명했으며, 4월 15일 수용소 해방 후에는 가용한 모든 자원을 동원하여 생존자 구호에 힘썼다.[63]



전쟁이 끝날 무렵 XXX 군단은 쿠크스하펜에 도달했다.[57] 호록스는 북서 유럽 전선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1945년 3월 22일[2]과 8월 9일[3] 두 차례 더 공로 훈장을 받았으며, 7월 5일에는 대영제국 훈장 기사단장(KBE)에 임명되었다.[60] 또한 벨기에(전쟁 십자훈장, 왕관 훈장), 프랑스(전쟁 훈장, 레지옹 도뇌르 훈장), 네덜란드(오라녜나사우 훈장), 그리스(조지 1세 훈장), 미국(공로훈장) 등 여러 연합국으로부터 훈장을 받았다.[61][62]

4. 4. 1. 마켓 가든 작전

1944년 9월 8일, 몽고메리 원수가 XXX 군단장 브라이언 호록스 중장(왼쪽)과 몽고메리의 지휘 아래 모든 네덜란드군의 지휘관인 리페비스터펠트의 베른하르트 공자(오른쪽)와 함께 지도를 연구하고 있다.


1944년 8월, 팔레즈 포위전중장 직무 대행으로 복귀한 호록스는[38] XXX 군단의 지휘를 맡아 프랑스로 파병되었다. 이는 몽고메리 장군이 기존 군단장 제라드 버크널의 성과에 만족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호록스는 벨기에를 통과하는 진격 작전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브뤼셀을 점령했으며, 한때 6일 만에 약 402.33km를 진격하는 빠른 속도를 보였다.[39]

그러나 연합군의 보급선이 노르망디 해안까지 길게 늘어져 있어 군수 문제가 심각했다. 제21군집단은 계획보다 두 배나 먼 거리인 항구에서 약 482.80km 떨어진 곳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다.[40] 이 때문에 XXX 군단은 안트베르펜으로 방향을 돌려 항구를 확보하는 임무를 맡았다. 9월 초 제11기갑사단이 안트베르펜 시와 항구를 점령했지만,[41] 몽고메리는 보급을 이유로 XXX 군단의 진격을 중단시켰다. 이 결정으로 인해 도시 북쪽의 넓은 알베르트 운하는 독일군 수중에 남게 되었다.[41] 호록스는 전쟁 후 당시 가용 연료로 약 160.93km를 더 진격할 수 있었다며 아쉬움을 표했다.[42] 일부에서는 지연 없이 추가 진격이 가능했을지에 의문을 제기하지만,[40] 당시 XXX 군단이 단 하나의 독일 사단과 대치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연합군에게 알려지지 않았다.[43]

이 진격 중단 기간 동안 독일군은 스헬더강 주변에 방어선을 재정비할 시간을 벌었다. 연합군이 다시 진격을 시작했을 때는 쿠르트 슈투덴트 장군이 이끄는 제1강하엽병군이 도착하여 운하 반대편에 강력한 방어 진지를 구축한 상태였다.[44] 결국 안트베르펜에서 북해까지 이어지는 스헬더강 유역의 독일군 방어선을 돌파하는 임무는 캐나다 제1군에게 맡겨졌고, 이들은 한 달간의 치열한 스헬더강 전투를 치러야 했다.[45]

이러한 상황 속에서 9월 중순, 호록스의 XXX 군단은 다시 동쪽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라인강 도하를 목표로 하는 마켓 가든 작전에 투입되었다. 안트베르펜에서의 지연은 결과적으로 마켓 가든 작전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는 평가가 있다.

4. 4. 2. 벌지 전투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벌지 전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4. 4. 3. 독일 본토 진격

(작성할 내용 없음)

5. 전후 활동

호록스는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도 군 복무를 이어갔다. 처음에는 서부 사령부의 최고 사령관(General Officer Commanding-in-Chief)을 역임했으며,[64] 1946년 중장으로 진급했고, 그 계급의 선임일은 1944년 12월 29일자로 소급 적용되었다.[65] 그는 잠시 영국 라인 군을 지휘했으나, 1948년 8월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입은 부상의 후유증으로 건강이 악화되어[66] 1949년 1월 초 군에서 퇴역했다.[67] 같은 해 대영제국 훈장의 기사 컴패니언(Knight Commander)으로 승급되었고,[68] 영토군의 왕립 포병 부대 명예 대령을 역임했다.[69]

1949년 그는 검은 지팡이 의전관(Gentleman Usher of the Black Rod)으로 임명되었는데,[70] 이 직책은 전통적으로 은퇴한 장교들이 맡았다. 이 임명은 1952년 엘리자베스 2세의 즉위와 함께 확정되었다.[71] 검은 지팡이 의전관은 상원의 행정 감독, 출입 통제, 의식 참여 등의 책임을 맡았다. 1957년 호록스는 세인트 제임스 극장의 철거를 막기 위해 상원 회의를 방해한 배우 비비언 리를 상원에서 내보내라는 특이한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그는 긴 토론 중에는 자리에 머물러야 했기 때문에, 축구풀 쿠폰을 작성하며 지루함을 달랬다고 전해진다. 호록스는 1963년까지 검은 지팡이 의전관 직책을 유지했다.[72]

1964년 나이메헌 해방 20주년 기념식에서 브라이언 호록스 중장이 자유 박물관 개관 연설을 하고 있다.


퇴역 후 호록스는 글쓰기에 관심을 갖게 되어, ''픽처 포스트''와 ''선데이 타임스''를 포함한 신문과 잡지에 군사 관련 기사를 투고했다. 이를 계기로 휴 웰던이 제작한 ''영국 성 (British Castles)'', ''전투 속의 사람들 (Men in Battle)'', ''서사시적 전투 (Epic Battle)'' 등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진행자로 활동하며 짧지만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이 프로그램들에서 그는 역사적 전투를 설명하며 "흥미진진함과 재미를 강조"하여 폭넓은 시청자에게 다가가려 했다.[73] 또한 템즈 텔레비전 시리즈 ''세계 대전''을 위해 광범위한 인터뷰를 했고, BBC의 ''라디오 타임스'' 잡지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텔레비전 경력이 끝난 후, 호록스는 주택 건설 회사 보비스의 이사회에서 일했으며, 계속해서 글을 쓰며 ''선데이 타임스''에 칼럼을 기고하고 일련의 영국군 연대 역사를 편집했다. 1968년에는 J & L Randall과 공동으로 메릿(Merit)사에서 제작한 보드 게임 ''전투 (Combat)''의 편집자로 참여했다. 그의 초상화와 서명이 상자에 실렸으며, 그는 게임 서문에서 "전쟁에서는 지형이 항상 다르기 때문에 두 전투가 절대 같지 않으며, 이것이 무엇보다도 적대적인 사령관들이 사용하는 서로 다른 군대의 구성과 전술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썼다.

그의 자서전 ''충만한 삶 (A Full Life)''은 1960년에 출판되었고, 북서유럽 전역에 대한 책인 ''군단 사령관 (Corps Commander)''을 1977년 공동 집필했다. 또한 마켓 가든 작전을 다룬 1977년 영화 머나먼 다리의 군사 고문으로 활동했다.[74] 영화 속에서는 배우 에드워드 폭스가 호록스 역할을 연기했다. 폭스는 훗날 "나는 모든 영화를 즐겼지만, ''머나먼 다리''는 브라이언 호록스 중장을 연기해야 했던 캐릭터 때문에 가장 즐거웠던 영화입니다. 당시 브라이언은 살아 있었고 저는 그를 잘 알았습니다. – 우리는 그가 죽을 때까지 친구였습니다. 그는 매우 특별한 유형의 장군이었고, 제가 그 역할을 제대로 해내는 것이 중요했습니다."라고 회고했다.[75]

호록스는 1985년 1월 4일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6] 2월 26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열린 추모 예배에는 여왕과 수상을 대표하는 마이클 헤셀틴 국방장관 등 많은 인사가 참석했으며, 30개 연대와 여러 단체가 대표를 보냈다.[77] 그는 찬송가나 꽃 없이 단순한 관만 사용하는 간소한 장례를 특별히 요청했다. 그의 시신은 화장되었고, 유골은 치체스터화장장 근처에 보관되어 있다가 2022년, 그의 옛 연대인 미들섹스 연대의 후신 웨일즈 공주 왕립 연대에 의해 밀 힐의 세인트 폴 교회에 사적으로 매장되었다.[78]

참조

[1]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43-06-24
[2]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45-03-20
[3]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45-08-07
[4] 뉴스 Cadetships in the Army The Times 1913-01-17
[5]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14-08-07
[6] 웹사이트 Text of Declaration III of Hague Convention, 1899 http://www.yale.edu/[...] Yale Law School 2008-06-14
[7]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15-05-21
[8]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20-01-30
[9] 웹사이트 Brian Horrocks https://www.olympedi[...] 2021-10-28
[10] 웹사이트 Brian Horrocks Olympic Results https://www.sports-r[...] Sports Reference 2012-06-22
[11]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27-02-22
[11]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27-02-25
[11]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31-01-16
[12]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31-01-20
[12]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32-12-23
[13]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34-01-30
[14]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36-03-10
[14]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38-02-04
[15]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2008-08-05
[15]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38-08-05
[16]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36-11-24
[16]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35-01-01
[16]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37-07-02
[17]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18]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38-08-05
[19] 서적 Horrocks
[20]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40-02-06
[21] 서적 Raising Churchill's Army
[22] 서적 Churchill's Lions
[23] 서적 Horrocks
[23]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41-07-01
[24]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41-07-01
[25] 서적 Churchill's Lions
[26]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42-06-26
[27] 서적 Horrocks
[28] 서적 Horrocks
[29]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42-09-04
[30] 서적 The Desert Rats
[31] 서적 null
[32]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42-12-29
[33] 웹사이트 Documents online – Family History: Recommendations for Honours and Awards (Army)– Image details – Horrocks, Brian Gwynne – Distinguished Service Order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2008-04-23
[34]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43-08-03
[35]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43-08-27
[36] 서적 Doherty
[37] 서적 War Diaries
[38] 간행물 London Gazette 1944-10-31
[39] 서적 Horrocks
[40] 서적 Raising Churchill's Army
[41]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42] 서적 A Full Life
[43] 서적 Horrocks
[44]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45]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46]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47]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48]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49]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50] 서적
[51]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52]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53] 서적 Horrocks
[54] 서적 Monty: The Final Years of the Field Marshall 1944–1976 McGraw-Hill Book Company
[55] 서적 Raising Churchill's Army
[56] 서적 Fire-Power – The British Army Weapons & Theories of War 1904–1945
[57] 서적 Churchill's Lions
[58] 서적 Corps Commander
[59] 서적 The Desert Rats
[60] 간행물 London Gazette 1945-07-03
[61] 간행물 London Gazette 1947-01-14
[61] 웹사이트 Documents online – Family History: Recommendations for Honours and Awards (Army) – Image details – Horrocks, Brian – Legion of Honour (Commandeur)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2008-04-23
[61] 간행물 London Gazette 1946-10-15
[61] 간행물 London Gazette 1944-06-20
[62] 웹사이트 Inventory: Group of orders and medals awarded to Lt Gen Sir Brian Horrocks https://web.archive.[...] National Army Museum 2012-06-27
[63] 서적 Belsen Concentration Camp - A Personal Account Amazon
[64] 서적 Brian Horrocks ODNB
[65] 간행물 London Gazette 1946-03-19
[66] 뉴스 General Surprises https://web.archive.[...] 2011-09-10
[67] 간행물 London Gazette 1949-01-14
[68] 간행물 London Gazette 1949-06-03
[69] 간행물 London Gazette 1949-11-18
[69] 간행물 London Gazette 1954-06-15
[70] 간행물 London Gazette 1949-01-18
[71]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52-08-01
[72]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63-06-18
[73] 뉴스 Lieut-Gen Sir Brian Horrocks The Times 1985-01-09
[74] 웹사이트 A Bridge Too Far https://uk.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2008-03-25
[75] 웹사이트 A Bridge Too Far (1977) http://www.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2008-03-25
[76] 뉴스 Sir Brian Horrocks is dead at 89; British General in World War II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5-01-09
[77] 뉴스 Memorial service The Times 1985-02-27
[78] 뉴스 Peace at last for Lt Gen Brian Horrocks – the man who outsmarted Churchill and Rommel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22-05-13
[79] 서적 Churchill's Lions
[80] 서적 Horrocks
[81] 서적 The Generals – The Canadian Army's Senior Commanders in the Second World War
[82] 서적 Churchill's Lions
[83] 서적 Horrocks
[84] 서적 A Full Life
[85] 서적 Corps Commanders
[86] 서적 Horrocks
[87] 서적 A Full Life
[88] 뉴스 Cadetships in the Army The Times 1913-01-17
[89] 서적 Horrocks
[90] 서적 Corps Commanders
[91]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14-08-07
[92] 서적 A Full Life
[93] 서적 A Full Life
[94] 서적 Horrocks
[95] 웹사이트 Text of Declaration III of Hague Convention, 1899 http://www.yale.edu/[...] Yale Law School 2008-06-14
[96] 서적 Horrocks
[97] 서적 A Full Life
[98] 간행물 null London Gazette 1915-05-21
[99] 서적 Horrocks
[100] 서적 Horrocks
[101] 서적 A Full Life
[102] 서적 Horrocks & A Full Life
[103] 서적 Horrocks
[104] 서적 A Full Life
[105] 서적 A Full Life & Horrocks
[106] 서적 A Full Life
[107] 서적 Horrocks
[108] 서적 A Full Life
[109] 서적 A Full Life
[110] 서적 Horrocks
[111] 서적 A Full Life
[112] 서적 A Full Life
[113] 웹사이트 Brian Horrocks Olympic Results https://www.sports-r[...] Sports Reference 2012-06-22
[114] 간행물 London Gazette 1927-02-22
[114] 간행물 London Gazette 1927-02-25
[114] 간행물 London Gazette 1931-01-16
[115] 간행물 London Gazette 1931-01-20
[115] 간행물 London Gazette 1932-12-23
[116] 간행물 London Gazette 1934-01-30
[117] 간행물 London Gazette 1936-03-10
[117] 간행물 London Gazette 1938-02-04
[118] 간행물 London Gazette 2008-08-05
[118] 간행물 London Gazette 1938-08-05
[119] 서적 A Full Life
[120] 간행물 London Gazette 1936-11-24
[120] 간행물 London Gazette 1935-01-01
[120] 간행물 London Gazette 1937-07-02
[12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122] 간행물 London Gazette 1938-08-05
[123] 서적 Horrocks
[124] 간행물 London Gazette 1940-02-06
[125] 서적 Raising Churchill's Army
[126] 서적 Horrocks
[126] 간행물 London Gazette 1941-07-01
[127] 간행물 London Gazette 1941-07-01
[128] 간행물 London Gazette 1942-06-26
[129] 서적 Horrocks
[130] 서적 Horrocks
[131] 간행물 London Gazette 1942-09-04
[132] 서적 Churchill's Lions
[133] 서적 A Full Life
[134] 서적 Churchill's Lions
[135] 서적 Horrocks
[136] 서적 The Desert Rats
[137] 서적
[138] 서적 Horrocks
[139] 서적 Horrocks
[140] 서적 Horrocks
[141] 서적 A Full Life
[142] 서적 Churchill's Lions
[143] 웹사이트 Documents online—Family History: Recommendations for Honours and Awards (Army)—Image details—Horrocks, Brian Gwynne—Distinguished Service Order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2008-04-23
[144] 서적 Horrocks
[145] 서적 Horrocks
[146] 서적 Horrocks
[147] 간행물 London Gazette 1943-08-27
[148] 서적 Horrocks
[149] 서적 A Full Life
[150] 서적 Doherty
[151] 서적 War Diaries
[152] 간행물 London Gazette 1944-10-31
[15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British Generals of the Second World War
[154] 서적 Horrocks
[155] 서적 Raising Churchill's Army
[156]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157] 서적 A Full Life
[158] 서적 Horrocks
[159]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160]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161]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162]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163]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164]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165]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166]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167] 서적 Horrocks
[168] 서적 Monty: The Final Years of the Field Marshall 1944–1976 McGraw-Hill Book Company
[169] 서적
[170] 서적 Fire-Power – The British Army Weapons & Theories of War 1904–1945
[171] 서적 Churchill's Lions
[172] 서적 Corps Commander
[173] 서적 The Desert Rats
[174] 간행물 London Gazette http://www.nationala[...] 1947-01-14
[175] 웹사이트 Inventory: Group of orders and medals awarded to Lt Gen Sir Brian Horrocks http://www.nam.ac.uk[...] National Army Museum 2012-06-27
[176] 서적 Brian Horrocks
[177] London Gazette 1946-03-19
[178] 웹사이트 General Surprises http://newspapers.nl[...] 2011-09-10
[179] London Gazette 1949-01-14
[180] London Gazette 1949-11-18
[180] London Gazette 1954-06-15
[181] London Gazette 1949-01-18
[182] London Gazette 1952-08-01
[183] 서적 Horrocks
[184] 서적 Horrocks
[185] London Gazette 1963-06-18
[186] 뉴스 Lieut-Gen Sir Brian Horrocks The Times 1985-01-09
[187] 서적 A Full Life
[188] 서적 Horrocks
[189] 서적 A Full Life
[190] 서적 Corps Commander
[191] 웹사이트 A Bridge Too Far https://uk.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2008-03-25
[192] 웹사이트 A Bridge Too Far (1977) http://www.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2008-03-25
[193] 웹사이트 Sir Brian Horrocks is dead at 89; British General in World War II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12-19
[194] 뉴스 Memorial service The Times 1985-02-27
[195] London Gazette 2008-04-22
[196] London Gazette 2008-04-22
[197] London Gazette 2008-04-22
[198] London Gazette 2008-04-21
[199] London Gazette 2009-12-23
[200] London Gazette 2008-04-22
[201] London Gazette 2008-04-22
[202] London Gazette 2008-04-22
[203] 서적 Horrocks
[204] 서적 The Generals – The Canadian Army's Senior Commanders in the Second World War
[205] 서적 Churchill's Lions
[206] 서적 Horroc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